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어 해석 기술 72 (압축부사절 : ING절)
    영어 해석 기술 2020. 2. 22. 07:40
    반응형

    72. ing?

    ‘TO부정사구라는 용어에는

    TO + 동사원형의 덩어리는 이 아니라 라는 의미가 들어있다.

    TO+동사원형의 덩어리를 절이 아니라 구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이 덩어리를 TO절이라고 부르고 있다. ?

    To + 동사원형의 덩어리를

    압축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

    부사절의 압축형태이기에 이것 또한 (clause)'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

    TO절 로 용어를 바꾸어서 부르게 되면,

    TO + 동사원형이 이제는 다르게 보인다.

    용어는 우리의 인식의 틀을 결정한다. 결정한다는 것이 너무 과격한 표현이라면 영향을 끼친다로 표현하더라도 분명 용어는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끼친다.

    ----------------------------------------------------

    TO 를 압축하는 장치로 인식하는 것

    TO + 동사원형을 (마디 절)’로 인식하는 것은 발상의 전환이다.

    그렇게 전환을 하면 이제 새롭게 보인다. TO

    ---------------------------------------------------

    이제는 또 다른 부사절의 압축장치인 ING절을 공부해 보자.

    --------------------------------------------------

    Seeing a wolf, Emily jumped in fright.

    The Great Fire of London burned for more than a week destroying more than thirteen thousand homes.

    ----------------------------------------------------

    ING 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늑대를 보았을 , 에밀리는 너무 무서워서 펄쩍 뛰었다.

    런던의 대화재는 한 주 이상 탔다. 13천 이상의 집을 파괴했고. (파괴하면서)

    --------------------------------------------------

    ING는 부사절의 압축장치이다.

    압축부사절로 쓰이는 ING절은

    시간, 이유, 조건, 대조/양보, 부연을 나타낸다.

    -------------------------------------------------

    압축부사절로 쓰이는 ING절은 주로

    시간 혹은 부연을 나타낸다.

    --------------------------------------------------

    Catching the 10 o'clock train, we can get there by lunchtime.

    10시 기차를 타면 우리는 점심시간까지는 거기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조건)

    Admitting what you say, I doubt his sincerity.

    너의 말을 인정한다 할지라도, 나는 그의 진실성을 의심한다.

    (대조/양보)

    This train starts at two, arriving in London at nine.

    기차는 2시에 출발한다, 런던에는 9시에 도착하고. (부연)

    -----------------------------------------------------

    ING는 압축 장치이기에,

    해제를 시키면,

    원래 모습이 어떤 부사절이었는지(어떤 의미의 부사절이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

    그것은 화자가 아니라 청자에게 맡겨진 일이다.

    해석을 청자에게 맡기는 것이다.

    -----------------------------------------------------

    언어 본능(Language Instinct)

    주절과 압축부사절의 내용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바로 우리에게는 그러한 능력을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것은 언어 본능이다.

    -----------------------------------------------------

    가장 어울리는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을 우리는 자연스레 찾아서 이해한다. 그러니 원칙따위를 찾으려고 하지말고, 본능을 믿으면 된다.

    ----------------------------------------------------

    문장 제일 뒤에

    ING절을 써서 부연(설명을 덧붙여 자세히 말함)을 나타낼 수 있다.

    ----------------------------------------------------

    (기존 문법책에서는 분사구문이라고 부른다)

    ---------------------------------------------------

    분사 구문???!!!!!!!! ING!!!!!!!!!!!!!!!???????

    어떤 용어를 써서 이해할 것인가????????????????????????????

    -----------------------------------------------------

    ING절 가장 빈도가 높게 해석이 되는 것은

    시간부연이다.

    -------------------------------------------------

    앞쪽에 오면 주로 시간

    뒤쪽에 오면 주로 부연

    ----------------------------------------------------

    부사절의 압축이 ING!!!

    그런데 ING절의 시제가

    주절 동사의 시제보다

    한 시제 앞선 경우에는

    그 시간적 차이를 어떻게 표현할까?

    ---------------------------------------------------

    바로 시제이다. [Earlier Marker]

    주절의 시제보다 한 시제 앞선다는 것을 표현해 주는 장치가

    바로 시제이다!!!!!!!!!!!!!!!!!!!!!!!!!

    선시제는 Have + P.P. 형태를 취한다.

    ----------------------------------------------------

    선시제와 ING절이 결합하면

    이런 형태가 되겠지.

    Having + P.P.

    이것을 두고 완료 동명사라고 부르는데,

    그렇게 완료 동명사라고 부르면, 마치 새로운 원칙이 있는 것처럼

    외워야 하는 규칙이 있는것처럼 느껴지는데, 그렇지 않다.

    --------------------------------------------------

    선시제 라는 장치가 ING절에 결합했을 뿐이다.

    그렇기에 따로 명칭을 두면(완료 동명사라는)

    선시제라는 장치를

    다른 여러 곳에서 공통적으로 쓰이고 있는 선시제라는 장치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게 만들어서

    외워야 하는 새로운 원칙으로(완료 동명사, 완료 부정사, 과거분사 등등에서 공통적으로 선시제라는 원리가 적용되고 있다)

    받아들이게 한다.

    ----------------------------------------

    선시제를 이해하면

    완료 동명사, 완료 부정사, 과거분사, 가정법 과거완료 등등을

    일관된 선시제 원리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따로 명칭을 만들어서 공부하게 되면

    별개의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선시제 개념 하나를 익히면,

    모두에 적용되는 공통 원칙을 알게되는 셈이다.

    -------------------------------------------------

    Having taken off his shoes, he crept up the stairs.

    Having received their final medical check, the astronauts boarded their spacecraft.

    Having lost my passport, I must apply for a new one.

    Having already seen the movie twice, I didn't want to see it.

    --------------------------------------------------

    시간이유에서 빈도가 높다.

    ---------------------------------------------

    동사가 있으면 그 동사의 행위를 하는 actor(행위자)가 있기 마련이다.

    , 동사는 주어를 가진다.

    그렇다면 ING절의 주어는?

    ING절의 주어는 보통 주절의 주어와 일치하기에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

    Seeing a wolf, Emily jumped in fright.

    see 누가 늑대를 보았는가? see의 주체는 누구인가? 바로 Emily

    -------------------------------------------------

    Nobody having any more to say, the meeting was closed.

    having의 주체는 누구인가? Nobody!!!!!

    ING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불일치할 때는

    명사를 그대로 써서(목적격의 형태로) 주어를 나타낸다.

    ------------------------------------------------

    독립부정사를 기억하는가? 같은 식으로 관용적으로 쓰이는 , 주절과는 완전 별개의 그냥 관습적인 숙어가 있는데, 독립분사구문이라고.......

    Generally speaking, dogs are more faithful than cats.

    일반적으로 말해서의 주체는 누구인가?????????

    People

    주절의 주어와 다르지만, 주어를 삭제한 것은

    오랫동안 쓰면서 굳어진 표현이기에.........................

    주절과 별개인 독립적인 ING절이라고 해서

    일명 독립 분사구문이라고 부른다.

    --------------------------------------------

    frankly/strictly/generally/roughly speaking

    considering

    taking ----- into consideration

    judging from

    ----------------------------------------------

    부사절이 그러했듯이.....................

    압축부사절인 ING절도

    1. 문장 앞에 나온 압축부사절은 이야기의 배경(background)을 설정한다.

    old -> new

    Seeing a wolf, Emily jumped in fright.

    2. 압축부사절이 뒤에 나오면, 앞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덧붙인다. (general -> specific)

    The Great Fire of London burned for more than a week destroying more than thirteen thousand homes.

    -------------------------------------------------

    인식의 힘은 엄청나고, 놀랍다. 어떻게 영어를 바라볼 것인가? 어떤 틀(frame)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문법 용어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Key Words

    ING절
    TO부정사구가 아니라 TO절
    부사절의 압축형태
    TO를 압축하는 장치로 인식하는 것
    압축부사절=ING절=시간/이유/조건/대조/양보/부연/정도/결과
    해석을 청자에게 맡기는 것 (원래 모습의 복원은 화자가 아니라 청자가 해야한다)
    언어 본능(Language Instinct / Linguistic Instinct)
    분사구문 = ING절
    시간(앞쪽)과 부연(뒤쪽)
    Having P.P.(ING절+선시제Earlier Marker 결합) 
    선시제=완료 동명사/완료 부정사/ 과거 분사 / 가정법 과거 완료
    ING절 주어 = 목적격 형태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